1. 공기혼입(aeration)
액체에 공기가 아주 작은 기포 상태로 섞여지거나 섞여져 있는 상태.

2. 캐비데이션(cavitation)
유동하고 있는 액체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저하되어 포화증기압 또는 공기분기압에 달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용해공기들이 분리되어 기포를 일으키는 현상으로 이것들이 흐르면서 터지게
되면 국부적으로 초고압이 생겨 고음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3. 채터링(chattering)
릴리프 밸브 등에서 밸브 시트(valve seat)를 연속적으로 두들겨서 비교적 높은 음을 발생 시키는
일종의 자력진동 현상.

4. 점핑(jumping)
유량제어 밸브에서 유체가 흐르기 시작할 때 유량이 과도적으로 설정 값을 넘어서는 현상.

5. 유체고착현상(hydraulic lock)
스풀 밸브 등에서 내부 흐름의 불균일성 등으로 축에 대한 압력분포의 평형이 깨져서 스풀을
밸브 몸체(또는 슬리브)에 강하게 밀려 고착되어 그 작동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현상.

6. 디더(dither)
스풀 밸브 등에서 마찰 및 고착현상 등의 영향을 감소시켜 그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진동.

7. 유압평형(htdraulic balance)
유압에 의하여 힘의 평형을 맞추는 것.

8. 디콤프레션(감압-decompression)
프레스 등으로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천천히 빼어 기계손상의 원인이 되는 회로의 충격을 작게
하는 것.

9. 랩(lap)
미끄럼 밸브의 랜드부와 포오트부 사이의 겹친 상태 또는 그 양.

10. 제로 랩(zero lap)
미끄럼 밸브 등에서 밸브가 중립에 있을때 포오트가 닫혀 지게 되며 이때 밸브가 조금이라도
변위되면 포오트는 열려 유체가 흐르게 되어 있는 겹친 상태.

11. 유량(rate of flow)
단위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양

12. 토출량(discharge rate)
펌프가 단위 시간당 토출 시키는 유량

13. 행정체적(displacement)
용적식 펌프 또는 모터의 1회전시 토출되는 기하학적인 체적

14. 드레인(drain)
기기의 통로나 관로에서 탱크나 매니폴드 등으로 돌아오는 액체 또는 액체가 돌아오는 현상

15. 누설(leakage)
정상상ㅌ애에서는 흐름을 폐지시킨 부위나 또는 흐르는 것이 좋지 않는 부위를 통하는 비교적
소량의 흐름

16. 제어 흐름(controlled flow)
제어된 흐름

17. 자유 흐름(free flow)
제어되지 않는 흐름

18. 규제 흐름(metered flow)
유량이 미리 설정 된 값으로 제어된 흐름. 다만 펌프의 토출이외의 것에 사용한다.

19. 흐름의 형태(flow pattern)
밸브 임의의 위치에서 각 포오트를 접속시키는 유체 흐름 경로의 모양

20. 인터 플로우(inter flow)
밸브의 변환도중에서 과도적으로 생기는 밸브 포오트 사이의 흐름.



출처:http://cafe.daum.net/self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