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는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유체는 콘트롤 요소에의해 엑츄레이터로
흘러가서 유체저항을 발생시킨다.
유체가 엑츄레이터의 저항을 이기려는 힘을 발생시킬 때 압력이 형성이 된다.
유압장치의 압력은 결국 유압펌프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엑츄레이터의 저항에 의하여
발생되어 진다.

기어 펌프는 고정량형을 사용하며 내접기어펌프와 외접기어펌프로 나누어 진다.

(1) 내접기어펌프
흡입축은 탱크와 연결이 있고 압력측은 유압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내접기어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외접기어와 맞물려 회전한다.
회전함에 따라 치차는 틈이 생기면서 떨어지게 되어 마이너스 압력(부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압력과 탱크유면의 대기압에 의해 작동 유압 펌프에 흡입이 된다.
작동유는 치차틈을 채우고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과 반달형부싱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어 압력측
으로 계속 보내지게 된다.

(2) 외접기어펌프
외접기어펌프는 2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들면서 오일을 흡입, 토출하게 된다.
구동기어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동기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차 공간에 의하여
오일은 흡입측에서 토출 측으로 이송이된다.
피동기어와 구동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는 부위에서는 고압이 형성되어 펌프의 이상운동을 발생
시킬 수가 있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블록의 측면에 무부하 홀이 만들어져 있어
이것에 의해 압축된 작동유가 다시 압력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치차와 베어링 블록사이의 측면공차가 크면 마찰은 적으나 누유가 많으며 공차가 작으면 마찰이
크고 누설은 작아지게 된다.



출처:http://cafe.daum.net/selfland/F5CJ/37